블로그스팟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등록 방법(구글블로그 서치어드바이저 등록 방법)

블로그스팟이 네이버에 검색되기 위해서는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에 색인 등록을 해 줘야 합니다. 색인이 되어 있지 않으면 애써 작성한 글이 네이버 검색 엔진에 노출이 되지 않기 떄문에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에요. 


네이버 서치어디바이저 등록 방법

네이버에 색인 등록을 위해서는 다음 3단계 과정을 통해 진행하시면 됩니다. 티스토리 블로그를 운영해 보신분들이라면 쉽게 따라하실 수 있습니다. 티스토리를 네이버 웹마스터도구에 등록하는 방법과 거의 동일 해요. 
단, rss 등록 방법만 약간 다르니 이 점만 유의해 주시면 됩니다.

1. 소유권 확인

2. sitemap.xml rss 제출

3. 색인 요청(내가 작성한 글 수집 요청하기)




1. 소유권 확인

1)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에 로그인해 주세요.(https://searchadvisor.naver.com/)



2) 로그인이 되었으면 우측 상단에 있는 웹마스트 도구를 클릭합니다. 


3) 사이트 등록에 내 블로그 url을 넣고 우측 화살표를 클릭.  
2차 도메인이나 하위 도메인을 만드신 분들은 2차 도메인 혹은 하위 도메인 URL로 입력하시면 됩니다. 


4) [사이트 소유확인]에서 HTML 태그를 클릭 후 메타태그(<meta name="naver ~ >)를 드래그 복사해 주세요. 다시 이쪽 창으로 돌아와야 하기 때문에 창은 닫지 말아 주세요. 



5) 구글 블로그에 로그인 한 뒤 HTML 편집화면 이동 [테마] -> [맞춤설정 옆 역삼각형] -> [HTML 편집]



6) 복사한 메타테그 코드를  <head> 다음 라인에 붙여 넣어 주세요. 




7) 네이버 웹마스터 사이트 소유 확인 화면으로 돌아와 주세요. 소유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2. sitemap.xml rss 제출

사이트 소유권 확인이 완료되었으면 sitemap.xml과 rss를 제출해 주시면 됩니다. 


1) 네이버 웹마스터 좌측 [요청] → [사이트맵 제출]을 클릭 한 후 본인의 블로그 주소를 입력해 주시면 됩니다. 입력할 때 주의할 점은 모두 소문자로 입력하셔야 합니다. 

https://블로그 url/sitemap.xml


2) 바르게 입력되면 아래와 같이 sitemap.xml 등록일이 나타납니다. 



3) rss 제출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네이버 웹마스터 좌측 [요청] → [rss 제출]을 클릭해 주세요. 

https://블로그 url/feeds/posts/default?alt=rss



4) 바르게 입력되면 아래와 같이 rss 등록일이 나타납니다. 



3. 색인 요청(내가 작성한 글 수집 요청하기)

1) 네이버 웹마스터 좌측 '요청' → '웹 페이지 수집'을 클릭



2) 수집 요청(색인 요청) 할 url을 입력 후 확인 버튼을 클릭



3) 수집 요청 결과에  [요청완료]라는 메시지가 화면에 나타나며, 약간의 시간이 지나면 수집이 완료되면 메시지는 [수집성공]으로 표시됩니다. 





이렇게 하시면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색인 등록과정이 완료가 됩니다. 구글 서치콘솔을 등록해 보셨다면 하는 방법이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어렵지 않게 따라하실 수 있으셨을거에요. 








블로그스팟 구글블로그 구글 서치콘솔 등록 방법(색인요청, 사이트 노출까지 걸리는 시간)

구글블로그에 글을 작성하고 가장 중요한건 사람들이 내가 작성한 글을 검색해서 읽을 수 있도록 하는게 가장 중요합니다. 내가 포스팅한 글이 구글이나 네이버와 같은 검색엔진에서 검색이 되도록 색인 요청을 해 주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해요. 색인 요청을 해야 할 사이트로는 아래와 같은 사이트들이 있습니다. 

  • 구글 서치콘솔
  • 네이버 웹마스터도구(서치어드바이저)
  • 빙 웹마스터 도구
  • 다음
이번 포스팅에서는 먼저 구글 서치콘솔 검색 등록 및 색인 요청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구글 서치콘솔 색인 요청 방법

구글 서치콘솔에 블로그스팟 검색이 되도록 등록을 하기 위해서는 아래 3가지 단계만 거치면 됩니다. 티스토리나 워드프레스 블로그를 운영해 본 경험이 있으신 분들께서는 익숙하실 거 같습니다. 단, 사이트맵 등록에서 rss 등록 방법만 조금 다르기 때문에 이부분만 유의해서 따라해 주시면 어렵지 않게 색인 등록을 하실 수 있으실거에요. 

① 속성 추가 하기 :  등록하려는 블로그를 서치 콘솔에 추가하는 절차로 소유권 확인이 되어야 합니다.

② 사이트맵 등록 : sitemap.xml과 rss를 등록하는 절차입니다. 

③ 색인 요청 : 위의 두 단계가 완료되면 비로소 색인 요청


1. 속성 추가 하기 

속성 추가를 위해서는 사이트의 소유권을 확인해 줘야 해요. 구글블로그와 서치콘솔 모두 구글 회사에서 운영하기 때문에 두 계정이 동일한 경우는 자동으로 소유권 확인이 되서 편리하지만, 만약 계정이 다를 경우 별도의 확인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1-1. 블로그스팟 & 구글서치콘솔 계정이 동일한 경우

1) 구글 서치콘솔 사이트로 로그인해 주세요. 



2) 좌측 상단의 속성 검색을 클릭한 뒤 속성추가 클릭



 3) 속성 유형 선택 화면에서 오른쪽 [URL 접두어]에 내 블로그 주소를 입력합니다. 
이때, 2차 도메인이나 하위 도메인을 설정하신 분들은 2차 도메인 (혹은 하위 도메인) URL로 입력하셔야 합니다. 


4) 구글블로그와 서치 콘솔 계정이 같은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소유권확인이 자동으로 이뤄져요. 






1-2. 블로그스팟 & 구글서치콘솔 계정이 다른 경우


1) 마찬가지로, 구글 서치콘솔 사이트로 로그인해 주세요. 



2) 좌측 상단의 속성 검색을 클릭한 뒤 속성추가 클릭




3) 속성 유형 선택 화면에서 오른쪽 [URL 접두어]에 내 블로그 주소를 입력합니다. 
이때, 2차 도메인이나 하위 도메인을 설정하신 분들은 2차 도메인 (혹은 하위 도메인) URL로 입력하셔야 합니다. 
여기까지는 두 계정이 같은 경우와 동일하게 진행이 됩니다. 



4) 소유권 확인 방법 중 HTML 태그를 선택하고 메타테그를 복사 버튼을 클릭해 주세요. 






5) 구글 블로그에 로그인 한 뒤 [테마] -> [맞춤설정 옆 역삼각형] -> HTML 편집 클릭


6) HTML 코드의 <head>와 </head>  사이에 복사한 코드를 붙여넣어 주세요. 





7) 다시 서치 콘솔 소유권 확인 화면으로 돌아가 확인 버튼 클릭

8) 소유권이 확인되었다는 메시지가 창에 표시가 됩니다. 








2. 사이트맵 등록 하기 

사이트의 소유권이 확인되셨으면 사이트맵을 등록하셔야 합니다.  sitemap.xml은 티스토리와 같은 url로 요청하면 되지만 rss는 요청 url이 조금 달라요 

2-1. sitemap.xml 등록

1) 서치콘솔 좌측 [sitemap] 클릭


2) 아래와 같이 붙여 넣고 [제출] 버튼 클릭합니다. 내 블로그 url은 https://부터 넣어야 합니다.

https://내 블로그 url/sitemap.xml



2-2. rss 등록

rss 등록은 티스토리와 다른 url을 입력해야 합니다. sitemap.xml과 마찬가지로 서치 콘솔 sitemap 화면에서 새 사이트맵 추가 화면에서 등록하시면 되요. 마찬가지로 내 블로그 url은 https://부터 넣어야 합니다.


다음과 같이 채운 뒤 [제출] 버튼을 클릭합니다. 

https://내 블로그 url/feeds/posts/default? rss=alt



sitemap.xml과 rss가 제대로 등록되었다면 다음과 같이 성공이라고 표시가 됩니다. 성공이라는 상태가 표시될 때 까지는 약간의 시간이 필요해요. 당장 되지 않더라도 하루나 이틀정도 기다려 주세요. 



3. 색인 요청하기 

1) 서치콘솔 위쪽에 색인을 요청하고 싶은 블로그 글 주소를 복사해서 붙여넣어 주세요. 



2) [Google 색인에서 데이터 가저오는중] 이라는 대기화면을 조금 기다리면 [URL이 구글에 등록되어 있지 않음] 이라는 메시지가 나오는데요. 구글 검색에 노출이 되지 않고 있다는 뜻이에요. 오른쪽 하단에 [색인 생성 요청] 버튼을 클릭합니다. 




3) [실제 URL의 색인을 생성할 수 있는지 테스트 중] 이라는 문구와 함께 1~2분 정도 시간이 걸릴 수 있다는 메시지가 나타납니다. 



4) 색인 등록이 완료되면 아래와 같이 [URL이 Google에 등록되어 있음] 이라고 표시가 됩니다. 이렇게 하면 내가 쓴 글 하나가 색인 요청이 완료된 거에요. 색인 요청을 했다고 해서 바로 구글 검색창에 검색이 되지는 않아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구글 블로그 블로그스팟에서 구글 서치 콘솔 검색 등록 및 색인 요청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티스토리 서치 콘솔 검색 등록과 rss 등록 이외에는 모든 절차가 동일합니다. 



블로그스팟 구글애널리스틱스 연동 방법(수익 많이나는 글 확인 방법)

구글블로거(google blogger) 블로그 스팟을 애널리틱스와 연동시키면 여러가지 장점을 누릴 수 있어요. 많은 분들이 자신의 블로그나 웹사이트(워드프레스)를 구글 애널리틱스와 연동시키는 가장 큰 이유는 내 블로그에 작성한 글 중에 어떤 글이 나에게 수익을 가져다 주는지 쉽게 확인해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 밖에도 네이버, 다음, 줌, 빙 같은 각종 포털사이트에서 어떤 검색어로 얼마만큼 조회가 되었는지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구글애널리틱스를 수익형 블로그와 연결해 놓는 작업은 매우 중요하고 꼭 필요한 작업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본격적으로 구글블로거 블로그스팟을 구글애널리틱스와 연결시키는 과정을 진행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등록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구글애널리틱스에 내 블로그를 등록해 주어야 합니다. 

2. 애드센스와 구글애널리틱스를 통합합니다. 


블로그스팟 애널리틱스 등록 방법 

1. 블로그스팟 애널리틱스 계정 만들기


구글애널리틱스에 접속해 주세요. 등록하게되면 아래과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1) 화면 왼쪽 하단에 톱니바퀴처럼 생긴 [설정] 아이콘을 누릅니다. 
2) 관리자 - 계정 - 계정만들기 를 눌러주세요. 


2. 계정 세부정보 입력

계정 이름을 입력해주셔야 합니다. 다른 블로그나 사이트와 구분하기 위해 본인의 웹사이트주소나 블로그이름을 입력해 주시면 나중에 사이트가 많아졌을 때 구분하기 쉽습니다. 



계정 이름 입력후 [다음]버튼 클릭


3. 속성 만들기 

속성 이름은 앞에서 이야기 드렸듯이 블로그 주소를 그대로 넣으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그래야 나중에 구분이 쉽습니다. 


1) 보고시간대 [대한민국] 선택
2) [다음]버튼 클릭



4. 비지니스 세부정보 입력

비지니스 세부정보는 본인의 블로그 주제에 맞는 주세를 선택해 주세요. 무엇을 선택해도 무방합니다. 



5. 업종 카테고리 

마찬가지로 아무거나 선택해 주셔도 됩니다. 상관없어요
이왕이면 본인의 블로그 주제와 관련된 카테고리를 선택해 주시면 더 좋습니다. 


[다음]버튼 클릭


6. 비지니스 목표 선택 

비지니스 목표는 [사용자 행동 검토]를 선택해 주도록 합니다. 


 [만들기]를 눌러 선택을 완료합니다. 


7. 애널리틱스 서비스 약관 계약


동의합니다에 체크한 다음 [동의함] 버튼을 클릭합니다. 




8. 데이터 수집 시작하기 

플랫폼 선택에서는 [웹]을 선택해 주세요. 


9. 데이터스트림 설정 

웹사이트 URL 주소와 스트림 이름을 넣고 [스트림만들기]를 클릭합니다. 여기서 스트림 이름은 아까 앞에서 말씀드렸듯이 블로그 웹페이지 주소를 입력했어요. 그래야 나중에 헥갈리지 않더라구요. 



10. 애널리틱스 측정 코드 블로그스팟 붙여넣기 

스트림만들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아래와 같이 애널리틱스 코드가 생성이 됩니다. 오른쪽 코드 [복사하기] 버튼을 눌러 코드를 복사해 주세요.  



내 블로그 스팟으로 이동합니다. 이제 거의 완료 되었어요. 

1) 테마
2) 맞춤설정 옆 드롭다운 버튼 눌러서 나오는 목록 중 
3) HTML 편집 버튼을 클릭합니다. 





아래와 같이 HTML 편집기가 열립니다. 여기 <head> 태그와 </head> 사이에 복사한 코드를 [붙여넣기]해 주세요.
이렇게 하면 블로그스팟과 애드센스 연동이 완료됩니다. 




혹시 이 방법이 조금 어렵게 느껴지신다면 아래 2번째 방법에서 구글 애널리틱스 측정 ID를 넣는것으로 간단하게 연동이 가능해요. 
측정 코드창을 닫으면 웹스트림 세부정보 창이 활성화 됩니다. 여기서 측정ID를 복사합니다. 



다시 블로그스팟에 오셔서 [설정] 버튼을 클릭합니다. 


Google 애널리틱스 측정 ID 부분을 클릭합니다. 
아래처럼 측정 ID를 넣을 수 있는 팝업창이 활성화 됩니다. 복사한 코드를 넣고 [저장] 버튼을 클릭해 주세요. 


블로그스팟 연동 완료 확인하기

저장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블로그에 애널리틱스 측정 ID가 잘 연동이 되어있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구글애널리틱스 사용 방법

이제는 구글애널리틱스를 연동했으니 어떤 글에서 수익이 많이 났는지, 어떤 키워드로 사람들이 내 블로그에 방문하는지와 같은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구글애널리틱스로 이동해 주세요. 메인화면 위쪽 부분에 있는 [모든 계정]부분을 클릭합니다. 




애널리틱스에 연동되어있는 블로그나 사이트가 있다면 전부 표시가 되는걸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서 본인이 조회하고 싶은 블로그를 클릭합니다. 
그리고 왼쪽에 [속성 및 앱] 부분에 있는걸 한번 더 클릭해 주세요. 
유니버설 애널리틱스가 사라지면서 깔끔하게 GA4계정 하나만 화면에 나타납니다. 




최소 하루나 이틀정도가 지나야 제대로 된 데이터가 잡히게됩니다. 만약 아무런 데이터가 뜨지 않는다면 하루나 이틀후에 다시 시도해 주세요. 



애널리틱스 GA4 애드센스 수익 확인


애널리틱스 ga4 에서는 어떤 글에서 수익이 얼마나 발생했는지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구글 애드센스 사이트에서도 가능하지만 500개까지만 등록이 가능하고 이것도 일일이 수동으로 작업을 해 줘야 확인이 되는 번거로움이 있어 많은 분들이 구글 애널리틱스와 연동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1. 애드센스 애널리틱스 통합 방법

구글 애드센스 홈페이지에 접속해 주세요. 


1) 계정
2) 액세스 및 승인 
3) Google 애널리틱스 통합 
4) [+새 링크] 버튼 눌러서 
5) 애널리틱스 통합하려는 블로그 주소 선택 


링크 만들기 버튼을 클릭하면 애드센스 승인이된 블로그에 관한 데이터를 애널리틱스 계정과 연결해서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애널리틱스 수익 글 확인 방법 

애널리틱스와 애드센스를 통합한 다음 24시간에서 48시간 정도 지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오른쪽 상단에서 기간을 원하는 대로 설정하시면 됩니다. 

1) 보고서 
2) 수익창출 
3) 광고 수익 
4) 페이지 경로 및 화면클래스 선택
5) 총 광고 수익


블로그로 월 1000만원 버는 방법

이렇게 하면 어떤 글에서 블로그 수익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지를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이런 글들이 또 어떤 키워드로 내 블로그에 접속이 되는지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런 비슷한 종류의 글을 가지치기 형식으로 계속 발행해 주시면 수익을 극대화 하실 수 있습니다. 
수익형 블로그를 운영하시는 분들에게는 나침반과도 같다고 할 수 있어요. 
조금은 번거롭고 귀찮은 작업이 블로그와 애널리틱스를 연동하는 작업이지만 나침반 없는 항해는 오래가지 못하고 표류하기 쉽상입니다. 
애널리틱스 꼭 연동하셔서 오래오래 블로그 수익화를 달성하실 수 있도록 준비해 보시기 바랍니다. 






구글블로거(google blogger) 블로그스팟 애드센스 수동 광고( html 코드 )넣는 방법

구글블로그 블로그스팟에 광고를 넣는 방법은 크게 2가지가 있어요. 블로그 수익화를 위해선 필수적인 세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자동으로 원하는 곳에 광고를 넣도록 설정하는 방법과 포스팅을 작성할 때 마다 원하는 위치에 수동으로 광고를 삽입해 주는 방법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포스팅 본문 중간중간 클릭률이 높을 거 같은 곳에 수동으로 구글 애드센스 광고를 넣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블로그스팟 애드센스 수동 광고 설정 방법 

구글 블로그스팟에 광고 넣는 법도 티스토리 본문에 수동으로 광고를 넣는 거 만큼이나 간단합니다. 초기 세팅만 잘 만들어 놓으면 3초만에 넣을 수 있어요. 
순서대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광고 위치 선정 및 HTML 모드 전환


1. 본문에 어디 애드센스 광고를 넣을지 찾기 쉽게 표시를 해 주세요. 저는 [애드센스광고] 라고 표시를 했습니다. 알아보기 쉽게 편하신 대로 표시하면 됩니다. 

2. 연필 모양 아이콘을 클릭하면, 

3. HTML보기라는 목록이 뜹니다. 클릭해 주세요. 




텍스트 편집기에서 HTML 편집기 모드로 화면이 전환됩니다. 
현재는 글이 길지 않아 광고를 삽입하려는 위치가 한눈에 검색이 되지만, 글이 길어진다면 Ctrl+F 버튼을 활용해 광고 삽입 위치를 찾아주시면 됩니다. 




애드센스 홈페이지로 이동해 보겠습니다. 광고 코드를 가지고 와야 합니다. 


애드센스 광고 코드 가져오기

애드센스 승인이 완료되었다면 아래 화면처럼 광고코드를 가져 올 수 있습니다. 


애드센스 홈페이지 접속

[광고] - ② [광고 단위 기준]  ③ [디스플레이 광고] 클릭





 [수평형] - ② [광고 단위 이름 설정]  ③ [만들기] 클릭



① [복사하기] 버튼을 클릭  [완료] 클릭

광고코드를 복사하였으면 블로그스팟 글쓰기 창으로 이동해 주세요. 


블로그스팟에 애드센스 광고코드 넣기 

처음 애드센스 광고 위치를 표시해 둔 곳에 광고코드를 그대로 붙여넣기 해 주시면 됩니다.





빨간색 박스로 표시된 부분을 다 지우시고 광고 코드를 넣으시면 됩니다. 



코드를 넣고 [게시]를 눌러서 글을 발행했습니다. 
아래 보시는 것처럼 [애드센스 광고] 부분에 수동 광고가 적용이 된 걸 확인해 보실 수 있어요. 






이렇게 설정하면 본문 원하는 곳 어느곳이든 애드센스 광고를 수동으로 삽입할 수 있습니다. 티스토리 HTML모드보다 조금 낯설어서 불편하지만 적응이 되시면 이 부분도 나름 편리하게 사용하실 수 있을거에요. 

지금까지 구글블로거(google blogger) 블로그스팟 애드센스 수동 광고( html 코드 )넣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구글블로거 블로그스팟 애드센스 전면광고 넣는 방법

구글블로거 블로그스팟에 애드센스 전면광고를 넣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무래도 전면광고 노출이 블로그 수익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더라구요. 다시 이야기하면 블로그에 접속하면 가장 먼저 제일 앞에 광고가 노출이 되도록 설정을 하면 그만큼 높은 광고 수익을 얻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부분은 블로그 HTML 편집을 이용하면 가능합니다. 


애드센스 전면광고

애드센스 전면광고(Interstitial Ads)는 사용자 경험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큰 화면을 차지하는 광고 형식입니다. 주로 앱이나 웹 페이지의 전환 시점(예: 페이지 로드 중, 콘텐츠 전환 시점)에 나타납니다. 아래는 전면광고의 주요 효과입니다:

  1. 높은 클릭률(CTR): 큰 화면을 차지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주목을 끌기 쉽고, 다른 광고 형식에 비해 클릭률이 높습니다.
  2. 높은 수익: 클릭률이 높아지면 광고주에게 더 많은 비용을 청구할 수 있어, 퍼블리셔에게 더 높은 수익을 제공합니다.
  3. 브랜드 인지도 상승: 큰 화면을 통해 광고 메시지가 더 효과적으로 전달되므로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는 데 효과적입니다.
  4. 사용자 경험 유지: 적절한 타이밍에 노출되면 사용자 경험을 크게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효과적인 광고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애드센스 광고 만들기

1. 구글애드센스 계정에 접속 광고 -> 광고단위기준 -> 디스플레이광고 클릭




2. 새 디스플레이 광고 만들기 

- 새 디스플레이광고 단위 이름을 입력하고 광고크기는 반응형을 선택해 줍니다. 기입이 완료되었으면 오른쪽 하단의 만들기를 클릭해 주시면 됩니다. 




3. 광고 코드 복사 -> 오른쪽 하단에 완료 클릭


구글블로거 HTML 편집

1. 구글블로거에 로그인 해 주세요. 테마 -> 맞춤설정 옆 세모난 화살표 클릭



2. HTML 편집 클릭




3.   <!-- Content Wrapper --> 윗부분에 구글 애드센스 코드 복사 후 붙여넣기


참고로 구글블로거에 적용한 테마마다 위치가 조금 다를 수 있어요. 저 부분을 찾는 방법도 간단히 설명해드리면, 본인의 블로그에 크롬 브라우저를 이용해 접속한 다음 개발자 모드(F12 버튼)로 접속합니다. 




그리고 오른쪽 상단에 조그만한 화살표(Select an element)를 이용해 블로그 제목과 본문 사이를 마우스로 클릭하면 해당 위치의 HTML 태그를 확인하실 수 있어요. 

저같은 경우는 <!-- Content Wrapper --> 이라는 걸 확인할 수 있었고, 이 부분 위쪽에 구글 광고 코드를 삽입하니 보이는 것처럼 블로그 상단과 본문 중간에 애드센스 전면 광고가 삽입이 된 걸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렇게 설정하면 애드센스 전면광고를 구글블로거 블로그 스팟에 넣을 수 있습니다. 
본인의 블로그 사이즈에 맞게 수정하여 활용할 때에는 HTML 코드를 약간 수정하시면 되요. 이 방법이 궁금하시면 댓글을 달아주시면 더 자세히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한가지 주의할 점은, 과도한 전면광고 사용은 사용자에게 불편을 줄 수 있으므로 적절한 빈도와 타이밍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구글 블로거 (Google blogger) 블로그 스팟 하위 도메인 연결(With Fastcomet)

구글 블로거 블로그스팟 하위 도메인을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구글 블로그스팟을 사용하면서 2차도메인이나 하위도메인을 반드시 사용해야 노출이 잘 된다는 이야기가 있더라구요. 사실인지 모르겠지만(이부분 혹시 알고 계시면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할 거 같습니다^^;;). 저도 패스트코멧에서 구매한 2차도메인의 하위 도메인을 만들고 블로그스팟의 주소를 하위도메인으로 연결했습니다. 기록 차원에서 그리고 저처럼 이 글을 보시면서 헤매이는 일이 없도록 최대한 자세히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블로그스팟 하위도메인 연결 방법

구글 블로거 블로그스팟에 하위 도메인을 연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다른사이트에 2차도메인을 사용했고, 하위 도메인을 하나 더 만들어서 구글 블로그스팟에 연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여기서 잠깐 2차도메인, 하위도메인이 좀 헥갈리시죠? 
하위 도메인은 2차도메인 앞에 주소를 하나 더 붙인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2차도메인 : bbb.com

  • 하위 도메인 : aa.bbb.com

하위 도메인 주소 정하기 꿀팁!! 
하위 도메인의 주소를 정할 때 정답이 있는건 아니지만 기억하기 쉽고 짧은 주소로 만들어 주셔야 나중에 기억하기도 쉽고 다른사람들이 내 웹사이트에 접근하기도 쉬워집니다. 한번 결정한 도메인은 변경하기 매우 번거로우니 처음 만들 때 신중하게 고민해서 만들면 좋습니다. 

① [설정] 
② [맞춤도메인] 
③ 하위도메인 주소 입력 -> [저장]




2차도메인을 입력하면 아래 보이는거와 같이 오류 화면이 나타납니다. 아래와 같은 화면에서 나타나는 이름과 대상값을 도메인을 구매한 사이트에서 입력해 줘야 합니다. 




저는 임의로 주소를 입력했어요. 이 글을 보고 계신 분들께서는 직접 하위도메인을 구매하시고 입력해 주시기 바랍니다. 
아래 보이는 이름, 대상 2개 모두 복사해서 메모장과 같은 곳에 저장해 두시기 바랍니다.

아래 보이는 4가지 정보를 패스트코멧에서 입력을 해 주도록 하겠습니다. 
  • 이름 : bb
  • 값 : ghs.google.com  
  • 이름 : vpndr2zlsjbh
  • 값 : gv-poiuytrew2kjhgf.dv.googlehosted.com

패스트코멧 홈페이지 접속

저는 도메인을 패스트코멧에서 구매를 했기 때문에 여기에 접속을 한 것이구요. 여러분들께서는 가비아나 본인이 서버를 구매한 사이트로 이동해 주시면 됩니다. 




로그인 한 다음 가운데 쪽 cPanel Access 버튼을 클릭해 주세요. 



Zone Editor를 클릭합니다. 


가운데 위치한 Manage 버튼을 클릭해 주세요. 


+Add Record -> Add "CNAME" Record 를 클릭 



 Name : 하위도메인 맨 앞자리 값
② TTL : 14400
 타입에서 'CNAME' 선택 타입에서 'CNAME' 선택 
④ 구글 호스트 값 URL 입력 (ghs.google.com 입력) 
⑤ [Save Record] 버튼 누르기  


CNAME 한 번 더 등록 

① [+Add Record ] 버튼을 누르고
② 타입에서 CNAME을 선택하시고 
③ 블로그스팟에 있던 호스트 이름을 복붙 (예/ vpndr2zlsjbh )
④ 블로그스팟에서 호스트 값 복붙하기  (예/ gv-poiuytrew2kjhgf.dv.googlehosted.com)
⑤ [Save Record]버튼 눌러 마무리  




이렇게 CNAME 2개를 등록했다면 패스트 코멧에서 등록하는 과정은 모두 마무리가 되었습니다. 구글 블로그스팟으로 다시 창을 이동하여 주세요. 



본인의 2차도메인을 입력한 후 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리고 HTTPS 부분에서 사용여부와 리디렉션을 모두 활성화 on 상태로 변경합니다. 
(버튼 오른쪽으로 넘기면 초록색으로 바뀌면서 활성화가 됩니다) 



변경하지마자 HTTPS 사용여부는 알수 없음으로 표시가 되는데요, 
10~20분 정도 지나면 HTTPS 사용여부가 '사용가능' 상태로 바뀝니다. 




이렇게 하면 모든 과정이 완료가 되면서 새로운 주소로 접속하면 블로그스팟이 제대로 접속이 되는 걸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구글 블로거 (Google blogger) 블로그 스팟 하위 도메인 연결(With Fastcomet)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